Loading
Loading
블로그 개발 일지 #2 - 기초 작업
2024년 11월 10일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제일 먼저 환경 세팅을 했습니다.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만들고 일관된 코드 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해 ESLint와 Prettier를 설정하고, 폰트와 Tailwind CSS를 추가한 다음, 간단한 메인 페이지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이 사이트는 단순한 기술 블로그를 넘어 포트폴리오로 활용 가능한 공간을 목표로 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과정에서의 기술적 성장과 배운 점을 기록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직접 운영해 보고자 했습니다.
ESLint를 먼저 설정해준 이유는 코드를 작성할 때 바로 문제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코드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ESLint 설정 시 여러 블로그와 ChatGPT의 도움을 받아 직접 설정을 했습니다.
유명한 ESLint 패키지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불필요한 설정들이 많았고, 너무 엄격한 규칙들이 개인 프로젝트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직접 설정해보면서 모든 규칙을 이해하진 못했지만 어떤 규칙들이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설정이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코드를 깔끔하게 작성하기 위해 Prettier를 설정했습니다. Tailwind CSS 플러그인으로 Tailwind 클래스도 정렬되도록 했습니다.
환경 세팅이 끝난 후에는 공통 컴포넌트와 홈 페이지를 제작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ESLint와 Prettier 설정을 직접 다루면서 코드의 일관성과 클린 코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환경 세팅이 처음에는 조금 복잡했지만, 이후 코드 작성 시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